Press "Enter" to skip to content

[카테고리:] 전자

전자공학에서 바이어스 bias 는 무슨뜻일까?

눈에 쏙쏙 들어오는 설명이 있어서 갈무리


출처 : http://39.115.195.122:2005/babohome/zboard/view.php?id=QA&page=3&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it&desc=asc&no=78

http://elec.slowgoing.org/


1. 바이어스란 무엇인가?

어떤 단어의 정확한 개념이란 적용 대상이나 범위에 따라서 달라지는 법…어려운 질문입니다.

일반적인 ‘바이어스(bias)’라고 하면, 가만히 (자연스럽게 또는 자유로이) 내버려두지 않고 외부에서 힘이나 에너지를 가하여 의도적으로 한 방향으로 치우치게 하거나 특정한 경향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들어, 어떤 정책에 대한 지지도를 설문조사를 하는데, 조사 대상을 제한하거나 질문의 또는 고를 답변의 예문 등이 공정하지 못할 때 ‘바이어스’가 걸려 있다고 합니다. 고의적으로 치우친 대답이 나오도록 ‘바이어스’가 걸려있다는 것이지요. 이러 경우에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미가 되지요. 

반면에 대부분의 공학에서는 설계자의 의도를 담아 방향성을 주는 것을 바이어스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경우에는 바이어스를 어떻게 거는가 하는 것이 아주 중요한 기술이 되겠지요. 

다시 질문으로 돌아와서, 전자 회로에서 ‘바이어스를 건다’는 것은 ‘회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미리 전압을 걸어둠으로써 전기 전자적으로 의도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작동 조건(초기 조건)을 만드는 것’ 정도로 정의할 수 있겠네요. 

다이오우드 양단에 전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전압이 걸리는가(순방향으로 바이어스 되는가), 전류가 흐르지 않는 방향으로 전압이 걸리는가(역방향으로 바이어스 되는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바이어스를 거는 방법 : 미리 약간의 전류가 흐르고 있는 상태를 만들어주도록 저항 등을 거쳐 트랜지스터에 회로에 전압을 걸어두는 방법을 말하는 것이죠? (자세한 내용은 트랜지스터 강좌를 참고하세요.)

이와같이 ‘바이어스’라는 용어에는 반드시 ‘의도’가 담겨 있다는 점을 기억해두시기 바랍니다.

—————————-
요건 내가 추가

통계학에서 바이어스는 최대한 없었으면 좋은 거지만
전자공학에서 바이어스는 최대한 만들어야 좋은거다.

왜? 통계는 있는 사실을 찾아내는 거라서 누군가의 의도가 들어가면 오류를 만들어지만 전자공학은 내가 원하는 대로 만드는 거기 때문이다.

AT89S52 동영상강의

http://www.smartdisplay.co.kr/FrontStore/iMakePage.phtml?iPageId=2
 
& 서울 시립대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http://ece.uos.ac.kr/
 
 
// 스텝핑 모터
http://sglee.rclab.net/info/step/step_motor.html
http://www.interq.or.jp/japan/se-inoue/e_step.htm
 
// 센서
http://blog.naver.com/icwj2010.do?Redirect=Log&logNo=40002949670
 
// 우키의 AVR
http://micro.new21.org/avr/
http://www.avr.pe.kr/avr/
http://cafe.naver.com/sigmchee.cafe
http://www.avrmall.com/ishop/board_list.php?boardIndex=14
 
////////////////////////////

간단 예제

아직 초보라 복잡한 명령어는 잘 모르겠구요, 프로그래밍 한 후 스위치를 눌렀을때
조건을 따져서 그 명령을 실행하는 소스입니다.
저는 서보 모터를 이용하여 4족 로봇을 만들고 있는데요, 어떤식으로 프로그래밍이 되어서 스위치가 작동하는지 궁금하신 분도 있을까봐요 ㅎㅎ 필요없는자료면 삭제하셔도 되요 ㅎ
아시는 분은 알겠지만, 전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시작해서요…
스위치의 동작방이 다른것은 있는지 모르겠는데요, 제가 해본 방법은요 입력에 전원을 입력해 주다가, 하드웨어적으로 스위치가 눌러지면 접지와 연결되면서 0V가 나오면 실행되도록 했습니다. 물론 반대로 0V이다가 전원이 들어가면 실행되게 할 수도 있구요.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서 아래 프로그램을 보시면 알겠지만, sw1과 sw2라는 변수는 넣어줘야 겠죠?

 volatile unsigned int   ... ...  
                       sw1, sw2,   
                       ... ...;  
...  
...  
     DDRF=0x00; //F포트를 입력으로 설정한다는 명령어 입니다.  
     PORTF=0xff; //풀업설정=> F포트에 모두 전원을 인가해준다는 뜻이구요...(모두 1)  
                         
for (;;)  
{  
     sw1=PINF&0x01; // sw1이 F포트의 1번핀 이라고 설정해 주는것입니다.  
     sw2=PINF&0x02; // sw2이 F포트의 2번핀 이라고 설정해 주는 것입니다.  
                     // 한 포트당 8개의 핀이 있는데요, F0핀이 1번 F1핀이 2번   
                     // 이런식입니다.  
                     // 01, 이건 hex값 이거든요. 계산기에 bin으로 놓구, 몇번핀  
                     // 쓸건지 두드려 주신담에 hex 누르면 값이 나와요~   
                     // 예를들어 '00001000'은 4번째핀 즉,F3번을 쓰겠다는 뜻이구요,  
                     // 적용시켜줄때는 위의 명령어에 0x08을 넣어주면 되구요,   
                     // 여러개의 핀을 쓰는것은 '11000001'면 0xc1을 넣어주면 됩니다.  
  
     // 만약 sw1이 0x00 즉 0V가 되면 아래의 명령을 실행 하라는 뜻이죠.   
     if(sw1==0x00)  
     {  
         // 타이머 인터럽트를 사용하였는데, HS-311기준으로 45도정도 나오는군요.  
         sv4=53;  
     }  
       
     // 마찬가지 입니다. sw2가 0V가 되면 명령실행.  
     if(sw2==0x00)  
     {  
         sv4=53;  
     }  
}   

생각해 보면 아주 간단한 방법인데요, 저처럼 C언어고 AVR이고 아무것도 모르는 초보분 한테는 도움이 되리라 바랍니다.
또 초보입장에서 유용한 정보 있으면 올릴게요 ㅎ
혹여나 저처럼 위의 명령어만 컴파일 해서 하시는분 있을까 하는 소리인데요, 위의 소스는 스위치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만 알려주는 소스에요~^^;;
제가 만들고 있는거 사진 한번 올려봤어요~ 키트 아니구요, 프레임이랑 모터 따로 다 사서 많은 실패끝에 만든 다리와 디자인이에요~ ㅋ 스위치는 유선과 무선을 만들어 놨는데요, 무선 리모컨 모듈은 구입한 것입니다.

/////////////////////////////
 
 
 
전자공학에 관한 사전…인데 영문임
http://www.usmotors.com/Products/ProFacts/IndexTerm.htm